반응형 SMALL 고구려어1 고구려어 단어 정리 한국 고대사 연구는 한자로 된 기록을 보고 이루어진다.우리의 고대사를 우리와 말이 다른 중국인들이 그들의 글로 쓴 걸 참고해야 하니 정확성이 떨어지는 건 당연하다.어느 왕 몇 년에 누가 어느 나라의 어느 동네를 쳐들어갔다가 이겨서 무슨 성(城) 또는 무슨 현(縣)을 복속했다. 라는 기록을 보면 중국 동네와 중국 사람에 관한 말들은 정확하겠지만 중국 이외 나라에 관한 것들은 뜻이나 음이 비슷한 한자로 기록한 것이기 때문에 지금의 후손들이 고대 우리나라의 지명, 인명, 단어 등을 유추하기가 대단히 힘들다.한자가 소리글자였다면 조금 더 쉬웠을지도 모르지만 아쉽게도 한자는 뜻글자이다. 그래서 남의 나라 고유명사를 한자로 표기할 때, 뜻을 맞춰 쓰기도 하고 뜻과 무관하게 음을 맞춰 쓰기도 했다. 그래서 고대사 연.. 2024. 12. 4. 이전 1 다음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