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환타지1 우리나라 무속신들의 종류 우리나라는 무속신앙이 의식의 바탕에 깔려있다. 종교로서 무속을 믿는다는 말이 아니니 오해하지 마시길 바란다. 대보름이나 추석에 보름달을 보면서 소원을 빈다고 해서 달을 신으로 믿는 종교를 갖고 있는 건 아니지 않은가? 개인적으로 귀신을 믿지 않아도 한심한(또는 나쁜) 사람을 보면 ‘귀신은 뭐하나? 저런 인간 안 잡아가고...’ 같은 말을 중얼거린다. 흉한 것을 쫓아내기 위해 소금을 뿌리고, 장례식장에 다녀오면 곧장 집으로 가지 않고 중간에 다른 곳을 들르기도 한다. 모두 종교와 상관없는, 어렸을 때부터 익숙하게 보아온 것을 따라한 행동들이다. 그러면 무속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우리는 이미 단군왕검이라는 말이 제사장의 의미와 통치자의 의미를 함께 갖고 있다는 걸 알고 있다. 그러면 하늘에 제사 지내는.. 2024. 12. 7. 이전 1 다음 반응형 LIST